
예전부터 gRPC를 두고 혁신이다, 아주 유용하다 라는 이야기는 많이 들어왔지만 뭘 위한 프로토콜인지 이해하기는 어려웠다.이번에 MCP 프로토콜에 좀 더 단순한 형식의 JSON-RPC가 포함되면서 RPC의 유용함을 깨닫고 있다. 어떤 강점이 있는지, 어떤 스키마를 사용해야하는지 정리해보려고 한다. 1. RPC와 HTTP는 상반되는 개념이 아니다JSON-RPC, gRPC는 모두 HTTP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.HTTP POST를 사용해서 통신을 하며, body에 동작을 정의하는 식으로 활용한다. 그렇다고 HTTP 외의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. 표준 입출력(stdio), WebSocket, raw TCP 스트림 등으로 JSON-RPC 메세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. RPC 프로토콜은 메세지를..